행정구역은 10시 13군이며,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중 관할 면적이 가장 넓다. 도청 소재지는 안동시 풍천면이며, 도 내 최대 도시는 포항시이다. 포항시에는 환동해지역본부가 설치되어 있다. 고대 수도였던 경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불교 유적과 유물이 남아있으며, 신라와 고려 시대에 축조된 산성과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이 많이 남아있다. 경상북도는 신라 시대의 화랑도가 탄생한 곳이자, 고려시대 거란 침입 당시 초조대장경을 보관하던 호국 정신의 중심지였으며, 몽고 침입 당시에는 팔공산을 중심으로 군사적 요충지의 역할을 맡았다. 조선시대에는 선비 문화가 발달한 곳이자 유학의 본고장으로서 43개의 향교를 비롯하여 수많은 유림(儒林)을 양성하였고, 퇴계 이황, 여헌 장현광, 서애 류성룡, 학봉 김성일 등의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며 영남학파를 형성하였다. 역사[편집] 1896년 이전의 역사는 경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동래부(東萊府), 23부제#대구부(大邱府), 23부제#안동부(安東府) 실시.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라 부르게 되고 경상북도의 수부(首府)는 대구부에 두었다. [2] 1914년 3월 1일 아래 표와 같이 부·군을 통폐합하였다.
독도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라는 행정구역을 가지고 있다. 경상북도의 행정력이 미치는 지역이고, 독도의 경비는 경상북도경찰청에서 담당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최동단 영토이며, 한편 일본은 시마네 현 오키 군 오키노시마 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없어진 행정구역[편집] 금릉군 순흥군 연일군 예안군 의흥군 인동군 장기군 점촌시 진보군 청하군 풍기군 평해군 하양군 함창군 현풍군 흥해군 영해군 자인군 우시군 유린군 장산군 화왕군 밀성군 퇴화군 문소군 보성군 경주부 의창군 용궁군 비안군 성산군 급산군 급벌산군 숭선군 화의군 김산군 지례군 개령군 인구[편집] 연도별 인구[편집] 경상북도(에 해당하는 지역, 대구시/달성군 및 대구광역시 제외)의 연도별 인구 추이[7][8] 연도 총인구 인구그래프 비고 1925년 2, 293, 285명 1930년 2, 471, 059명 1935년 2, 506, 092명 1940년 2, 444, 295명 1945년 2, 661, 094명 1950년 3, 220, 342명 1955년 3, 360, 859명 1960년 3, 847, 290명 1965년 4, 389, 703명 1970년 4, 558, 186명 1975년 4, 855, 185명 1980년 4, 950, 310명 1985년 3, 014, 712명 1981년 대구직할시 승격 분리 감소 1990년 2, 861, 894명 1995년 2, 673, 325명 2000년 2, 715, 835명 2005년 2, 594, 900명 2008년 2, 679, 640명 2009년 2, 672, 528명 2010년 2, 668, 403명 2011년 2, 688, 586명 2012년 2, 697, 104명 2013년 2, 698, 263명 2014년 2, 698, 306명 2015년 2, 699, 275명 2016년 2, 701, 160명 2017년 2, 698, 803명 2018년 2, 688, 747명 2019년 2, 674, 005명 2020년 2, 662, 508명 연령별 인구[편집] 구분 인구(2010년) 인구(2013년) 증감치 유년인구(0~14세) 393, 326명 360, 699명 감소(32, 627명) 경제활동인구(15~64세) 1, 877, 736명 1, 886, 324명 증가(8.
에브리타임 우리 학교 커뮤니티 둘러보기 폴리텍대 KAIST KENTECH UNIST 가야대 가톨릭꽃동네대 가톨릭상지대 감리교신학대 강동대 강릉영동대 강서대 강원관광대
[4] 2023년 1월 1일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다. 자연[편집] 위치[편집] 한반도의 남동부를 차지하며, 북동부에 태백산맥, 북서부는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였으며, 낙동강의 중상류 부분을 차지한 경상북도는 북부에 강원도, 서부는 충청북도와 전라북도, 그리고 남부와 동부는 경상남도와 동해에 각각 인접하고 있다. 수리적 위치로는 울릉군 울릉읍 독도가 동경 131°52"로 경북의 동쪽 끝인 동시에 대한민국의 극동을 이루고, 서쪽 끝은 동경 127°148"인 상주시 화북면 홍리로서 동서단간의 경도차는 4°4"이다. 남쪽 끝은 청도군 청도읍 원동으로 북위 35°33"인데 남북단간의 위도차는 1°59"이다. 동부 지역[편집] 포항시를 중심으로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은 동해안에 위치하고. 울릉군은 동해상에 있다. 울진은 강원도 영동지방, 경주는 울산광역시 울주군과 접한다. 중서부 지역[편집] 구미시를 중심으로 상주시, 김천시, 문경시, 군위군이 경북의 서부이다.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충청북도 중남부 지역과 접한다. 남부 지역[편집] 경산, 영천, 청도, 칠곡, 고령, 성주가 경북의 남부에 속한다. 북부 지역[편집] 안동을 중심으로 영주, 의성, 예천, 봉화, 영양, 청송이 경북 북부이다. 경북 북부는 주로 산악 지형이 많다.
1949년 8월 14일 영일군 포항읍, 김천군 김천읍이 각각 포항부, 김천부로 승격되었고, 김천군을 금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949년 8월 15일 대구부를 대구시로, 포항부를 포항시로, 김천부를 김천시로, 울릉도를 울릉군으로 개칭하였다. 1955년 9월 1일 경주군 경주읍, 내동면이 경주시로 승격되었고, 경주읍, 내동면을 제외한 나머지 경주군은 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62년 12월 12일 강원도 울진군이 경상북도로 편입되었다. 1963년 1월 1일 안동군 안동읍이 안동시로 승격되었다. 1978년 2월 15일 선산군 구미읍이 구미시로 승격되었고, 동시에 칠곡군 인동면을 구미시로 편입하였다. 1980년 4월 1일 영주군 영주읍이 영주시로 승격되었다. 영주읍을 제외한 나머지 영주군은 영풍군으로 개칭되었다.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로 승격되어 경상북도에서 분리되었고, 영천군 영천읍이 시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경상북도 경산군 안심읍, 고산면과 칠곡군 칠곡읍과 달성군 공산면, 성서읍, 월배읍이 대구직할시 관할로 이관되었다.
울릉군여객선 운임할인행사 - 포항 - 대저건설 가볼만한축제|가족여행|강원권|강원그린박람회|관광지|기차여행|나들이|박람회|아이와함께|연인과함께|이색체험|체험학습| 사진보기; 상세정보; 여행톡;
99로 여자가 약간 더 많다. 도내 시군별 남녀 성비는 울릉군 (1. 11)이 가장 높고, 칠곡군 (1. 06), 성주군 (1. 04), 고령군 (1. 04), 구미시 (1. 04), 포항시 (1. 03), 경산시 (1. 02), 군위군 (1. 01), 영천시 (1. 01), 경주시 (1. 00), 봉화군 (1. 00), 영주시 (0. 99), 김천시 (0. 99), 안동시 (0. 98), 예천군 (0. 98), 청송군 (0. 98), 영양군 (0. 97), 문경시 (0. 97), 상주시 (0. 97), 울진군 (0. 97), 의성군 (0. 96), 청도군 (0. 95), 영덕군 (0. 91)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행정구역 면적 및 인구 통계 (2020기준)[5][6] 이름 한자 인구 (명) 세대 포항시 浦項市 1, 128 503, 649 218, 011 경주시 慶州市 1, 324 253, 415 116, 978 김천시 金泉市 1, 009 140, 197 64, 499 안동시 安東市 1, 521 158, 984 74, 104 구미시 龜尾市 616 417, 679 174, 438 영주시 榮州市 669 104, 336 48, 517 영천시 永川市 920 101, 417 50, 688 상주시 尙州市 1, 255 99, 093 47, 893 문경시 聞慶市 911 71, 325 35, 003 경산시 慶山市 412 261, 438 114, 141 軍威郡 614 23, 655 12, 797 義城郡 1, 176 52, 154 27, 769 靑松郡 843 25, 251 13, 722 英陽郡 815 16, 280 8, 793 盈德郡 741 36, 875 19, 730 淸道郡 697 42, 608 22, 210 高靈郡 384 32, 067 16, 029 星州郡 43, 655 22, 643 漆谷郡 451 115, 809 51, 764 醴泉郡 661 54, 871 26, 231 奉化郡 1, 201 31, 714 16, 396 울진군 蔚珍郡 989 48, 873 24, 910 울릉군 鬱陵郡 73 9, 355 5, 243 경상북도 慶尙北道 19, 026.
형산강은 경주분지와 안강평야를 거쳐 지구대 속을 흘러 영일만으로 유입한다. 한편 굽이 흐르는 낙동강 상류의 하곡 저지와 북·서·동북의 산록면에는 간헐적인 충적지와 작은 구릉이 기복한 침식평야가 분포한다. 해안선은 장기곶을 제외하고는 매우 단조한 편이며 일부에 해안단구(海岸段丘) 곳곳에 사빈해안이 발달하여 임해 휴양지로서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기후[편집] 경상북도의 대부분 대한민국 남부 내륙형의 기후로서 여름에는 상당히 덥고, 겨울에는 온난하다. 동해안 지방은 해류와 산맥의 영향으로 내륙보다 따뜻하다. 연평균 기온은 11~13도, 1월 평균 기온은 동해안 지방이 0. 6~0. 8도이고, 영천 등 남부지방은 -1. 6~-2. 2도, 영주·문경·청송 등 북부 내륙지방은 -4.
포항스틸러스: WE ARE STEELERS 강원FC가 포항스틸러스를 제물로 승점3점을 챙기며 상위권 굳히기에 나섰다. 이날 강원의 선취점은 '신입생' 이영재가 기록했다. 다른기사
06 2, 645, 240 1, 212, 509 경상북도지사[편집] 일제 치하 경북[편집] 시대별 경상북도의 역사에 대해서는 경상북도의 역사 및 경상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선 고종 32년(1895년) 5월 26일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하였다. 고종 33년(고종 건양 원년, 1896년) 8월 4일 지방제도를 23부에서 13도로 다시 개편하였다. 대한제국(1896년 ~ 1910년) 및 일제강점기(1910년 ~ 1945년)에도 이때 개편된 지방제도는 그대로 이어졌다. 현재와 비교하면 울진군이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편입되었고, 대구광역시가 분리된 것이 차이점이다. 독도[편집] 독도 외의 정보에 대해서는 울릉군 및 울릉읍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인천 VS 포항 / 강원 VS 울산 | | 스포츠 매거진 - MBC MATCH 포항 vs 강원10.23(일) 15:00
588명) 노년인구(65세 이상) 418, 858명 452, 417명 증가(33, 359명) 교통[편집] 경상북도는 전국에서 교통이 가장 편리한 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철도는 경부선, 중앙선, 동해선, 대구선, 영동선, 경북선 등이 경상북도를 지나며 경상북도의 남부에 있는 대구광역시와 포항시(포항역), 경주시(신경주역), 김천시(김천(구미)역)를 통한 KTX로 이용도 편리하다. 특히 경산, 김천, 청도는 시외 교통에서 철도의 비중이 매우 높다.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동해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가 통과한다. 대구광역시의 대구국제공항과 포항시의 포항경주공항을 통해 항공편도 이용할 수 있다. 포항, 안동은 도로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 속하고 영주, 김천, 경주, 영천은 철도 교통이 편리한 지역이다.
경상북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경상북도慶尙北道 도기 휘장 경상북도 지도 현황 국가 대한민국 면적 19, 031. 42 km2 인구 2, 624, 310명(2022[1]년 기준) 인구밀도 137. 89명/km2 하위 행정구역 10시 13군 상징 도목 느티나무 도화 백일홍 도조 왜가리 도청 도지사 이철우(국민의힘) 소재지 안동시 풍천면 도청대로 455(갈전리) 홈페이지 http://www. gb. go. kr/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다. 동쪽으로는 동해, 서쪽으로는 전라북도·충청북도, 남쪽으로는 대구광역시를 둘러싸며 울산광역시·경상남도와 접하고, 북쪽으로는 강원도와 경계를 이룬다.
고속도로 교통상황 크게보기 작게보기 원래크기. 캠페인이미지. 돌발·사고정보. 기타. 14 함양울산선[함양방향] 배내골터널부근(120.8K)(진출로갓길)버스고장처리중 (19시
0~-4. 2 로 가장 춥다. 8월 평균 기온은 24. 9~26. 9도로 남부 내륙은 높고 동해안 지방은 낮은 편이다. 연 강수량은 900~1, 100mm로 영천·청송·길안 등 내륙지방이 비가 가장 적고, 영주·경산·청도·고령 등은 1, 000~1, 100mm이다. 울릉도는 반도부와는 달리 해양성 기후로서 온난 다습하여 연강수량이 1, 700mm에 달하며 대한민국 최다우 지역의 하나를 이룬다. 특히 겨울철에 강설량이 많아 눈의 피해가 크며, 가옥구조도 특이하다. 이 섬에는 동백꽃을 비롯하여 해양성 기후의 지표식물인 너도밤나무가 자란다. 행정 구역[편집] 1981년 7월 1일 대구시가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로 독립 승격되어, 현재 경상북도에는 10개의 시와 13개의 군이 있다. 달성군의 경우 1995년 3월 1일 부로 대구광역시에 이관되었다. 인구는 2, 715, 085명이고 남녀 성비는 현재 0.
행정안전부> 뉴스·소식> 지자체소식> 지자체 누리집 포항고용복지+센터. 관할지역 : 영덕군,울릉군,울진군,포항시 남구,포항시 북구 연락처 : 054-280-3000. 홈페이지 카카오 지도보기.
여권사무대행기관 검색 - 외교부 여권안내 홈페이지 대상. 울릉군 자매우호도시 : 강원 동해시, 강원 삼척시, 경기 구리시, 경기 성남시, 경기 안산시, 경기 안양시, 경기 의정부시, 경북 경주시, 경북
포항, 홈에서 올시즌 마지막 경기…"다시, 아시아로" | 선데이타임즈 Flashscore.co.kr의 강원 페이지는 라이브스코어, 결과, 순위 및 경기 상세정보 더 많은 경기 보기. 예정된. 대한민국K리그 1 - 챔피언쉽 그룹. 포항.